thumbnail
웹개발자를 위한 코딩테스트 완벽 가이드
ETC
2025.10.15.

웹개발자를 위한 코딩테스트 완벽 가이드

“실무에서 잘하는 개발자”와 “코딩테스트를 통과하는 개발자”는 다릅니다.
하지만 둘의 차이를 이해하면, 코딩테스트는 오히려 당신의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1. 들어가며

웹 개발자는 주로 브라우저 환경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UI를 구현하는 일에 익숙합니다.
그러나 기업의 코딩테스트는 **“논리적 사고력”과 “알고리즘 이해”**를 평가하기 때문에
처음 접할 때 매우 낯설게 느껴집니다.

이 문서는 실무형 웹 개발자가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는 현실적인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문제풀이가 아니라, 왜 그런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원리부터 심화까지 설명합니다.


2. 왜 코딩테스트를 하는가?

기업이 코딩테스트를 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 논리적 문제 해결 능력 평가
  • 코드 품질과 구조적 사고 확인
  • 한정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사고하는 습관 확인
  • 언어의 기본 문법, 자료구조, 알고리즘 이해도 파악

즉, “웹 기술을 얼마나 많이 아는가”가 아니라
“개발자로서 기본기를 얼마나 탄탄히 갖췄는가”를 보는 과정입니다.


3. 코딩테스트의 기본 구성


유형 설명 예시


알고리즘 문제 배열, 문자열, 정렬, 백준, 프로그래머스 탐색, 그래프, DP 등

SQL 문제 데이터 조회 및 JOIN, LeetCode SQL GROUP BY 등

프로그래밍 과제형 실제 웹 또는 API 구축 사내 과제형 테스트

기술면접 연계형 테스트 코드 + 설계 질문 대기업 및 테크기업 중심

4. 웹개발자의 시선에서 보는 “코딩테스트”

💡 현실적인 어려움

  1. 실무에서는 알고리즘을 거의 안 쓴다
    • 대부분 라이브러리나 API로 해결함.
    • 코딩테스트는 기본기를 묻기 때문에 직접 구현해야 함.
  2. 언어보다 논리가 중요하다
    • “JavaScript로만 풀 수 있을까?” 라는 고민이 많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언어 선택 자유.
    • 기본 구조는 같기 때문에, JS로 연습해도 충분함.
  3. 시간 압박
    • 문제 이해 + 구현 + 디버깅까지 1시간 안에 끝내야 하는 경우가 많음.

5. 단계별 준비 로드맵

🔹 1단계: 기초 문법 및 입출력 익히기

  • 언어: JavaScript, Python, Java 중 하나 선택
  • 학습 목표:
    • 배열, 객체, 반복문, 함수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
    • 입출력(stdin, stdout) 처리 방식 숙지
  • 추천 자료: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입문”
    • 백준 단계별 문제 1~5단계

🔹 2단계: 자료구조 기본기

자료구조는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입니다.
특히 다음은 대부분의 테스트에서 반복 등장합니다.

자료구조 설명 예시 문제


배열(Array) 순서 있는 데이터 부분합, 슬라이딩 윈도우 스택(Stack) LIFO 구조 괄호 검사 큐(Queue) FIFO 구조 BFS 탐색 해시(HashMap) 키-값 저장 중복 검사 트리(Tree) 계층적 구조 이진탐색트리, DFS 그래프(Graph) 노드-간선 연결 경로 탐색

📘 실무 팁:
SPA(React, Vue 등) 개발에서도 상태 관리 시 트리 구조나 해시 개념을 자주 활용합니다.
즉, 자료구조는 실무에도 직결됩니다.


🔹 3단계: 알고리즘 사고 훈련

(1) 정렬 & 탐색

  • 선택/삽입/퀵/병합 정렬
  • 이진 탐색 (Binary Search)
  • 투포인터, 슬라이딩 윈도우

(2) 재귀와 DFS/BFS

  • 트리/그래프 순회
  • 백트래킹 문제 (예: N-Queen, 경로 탐색)

(3) 동적계획법 (Dynamic Programming)

  • 점화식 기반 최적화
  • 예: 피보나치, 최대 부분합, 최소 비용 경로

(4) 그리디 & 완전탐색

  • 매 순간 최선의 선택으로 최적해 접근
  • 예: 동전 교환, 회의실 배정

6. 웹개발자에게 맞는 학습 전략


전략 설명


1. 쉬운 문제부터 꾸준히 난이도 상관없이 “매일 1문제”가 중요

2. 문제 풀이 후 ‘복기’ 단순히 맞췄다고 끝내지 말고, 다른 풀이를 비교

3. 자바스크립트로 연습 배열, Map, Set 등 JS의 내장 객체로 직접 구현

4. 실무 연결 시켜보기 예: BFS → UI 트리 탐색 / 정렬 → 목록 정렬 로직

5. 노트에 정리 자주 나오는 패턴은 직접 손으로 쓰기

7. 코딩테스트 실전 전략

🧠 문제 접근 3단계

  1. 문제 구조 파악 – 입력/출력, 제약조건 분석\
  2. 로직 설계 – 자료구조 선택, 흐름도 작성\
  3. 구현 및 테스트 – 예제 입력부터 단계별 검증

⚙️ 시간복잡도(Complexity)

  • O(1) : 즉시 처리 (ex. 배열 인덱스 접근)
  • O(N) : 선형 탐색
  • O(N log N) : 정렬
  • O(N²) : 중첩 반복문 (가능하면 피할 것)

💬 디버깅 팁

  • console.log()로 단계별 값 출력
  • “예상과 다르게 동작하는 구간”에 주석 남기기
  • 입력을 직접 바꿔보며 테스트

8. 실무형 과제 테스트 대비

일부 기업은 알고리즘보다 과제형 문제(Project Test) 를 출제합니다.
예를 들어:

  • “Todo 웹앱을 만들어라”\
  • “주어진 API 데이터를 렌더링하고 필터링 기능을 구현하라”

이 경우 평가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설명


코드 구조 MVC, 컴포넌트 분리 등 아키텍처적 사고 재사용성 함수/컴포넌트 분리 네이밍 변수, 함수명 가독성 에러 핸들링 예외 상황 처리 UI 완성도 직관적이고 깔끔한 구현

📘 추천 연습법:\

  • 1시간 제한을 두고 “간단한 CRUD 앱”을 만들어보기\
  • 코드 리뷰를 받아보거나 직접 피드백 작성하기

9. 기술 면접과의 연결

코딩테스트 이후에는 기술 면접이 이어집니다.
다음 질문들은 거의 필수적으로 등장합니다.

질문 포인트


“시간복잡도가 어떻게 되나요?” Big-O 개념 이해 “이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풀 수 있나요?” 대안 사고력 “변수를 이렇게 설계한 이유가 있나요?” 코드 구조 이해도 “React에서 이 자료구조가 왜 유용한가요?” 실무 연결력


10. 심화: 코딩테스트를 넘어서

  • Clean Code 원칙 적용
    • 함수 하나는 하나의 역할만
    • 의미 있는 이름 짓기
    • 중복 제거
  • 테스트 코드(TDD) 습관화
    • JestMocha로 로직 검증
  • AI 보조 활용
    • ChatGPT, Copilot 등을 활용해 코드 리뷰 및 리팩토링 연습

11. 마무리하며

웹개발자에게 코딩테스트는
“나의 기술력을 보여주는 새로운 언어”입니다.

문제풀이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내 사고력을 코드로 명확히 표현하는 과정이라 생각하세요.
꾸준히 연습하면 어느 순간
“문제를 읽자마자 로직이 머릿속에 그려지는 순간”이 옵니다.


📚 추천 학습 리소스


구분 사이트 특징


알고리즘 연습 프로그래머스 한국어 인터페이스, 난이도별 구성

실전 문제 백준 기업 출제 스타일

과제형 연습 Frontend 실무형 UI 구현 Mentor

알고리즘 시각화 VisuAlgo 알고리즘 동작 원리 시각화


💬 결론:
웹 개발자는 이미 충분히 논리적 사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코딩테스트는 “그 사고를 정형화된 틀로 표현하는 연습”일 뿐입니다.
조금의 훈련으로 누구나 통과할 수 있습니다.

“웹개발자는 문제 해결자다.
알고리즘은 그 해결력을 증명하는 언어일 뿐이다.”

Thank You for Visiting My Blog, Have a Good Day 🌿

© 2024 Developer LIM.